• 노인 오베가 찾은 ‘살아갈 이유’

    [ 영화 ‘오베라는 남자’ ]




    출처 : 네이버영화 스틸컷



      이웃에 누가 사는지 잘 알고 계시나요? 과거 농촌 마을에서는 힘든 일을 서로 거두어 주던 품앗이, 두레와 같이 이웃은 서로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사이였습니다. 현대에는 이웃 간의 소통 기회가 과거보다 줄어든 것 같습니다. 점점 개인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 속에서 이웃의 중요성은 크게 와 닿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녀들의 출가, 은퇴, 사별 등으로 우리는 누구나 혼자가 되기도 하며, 누군가는 그 고독을 견디기 힘들어하고, 곁에 있어 줄 누군가가 절실해지기도 합니다. 또한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을 이웃과 함께 마을공동체 단위에서 접근해볼 수 있기도 합니다. ‘오베라는 남자‘라는 영화의 오베라는 노인 역시 처음에는 주위 사람들과의 단절을 자처합니다. 또한 아내와의 사별, 직장에서의 해고 등으로 삶의 목적을 잃고 죽음을 결심합니다. 이 영화를 따라가면서 오베의 마음이 변하듯 나의 마음도 달라지는 경험을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강원도 초고령화 사회 진입]

      통계에 따르면 강원도는 2021년 6월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1.20%로 초고령사회로 분류되었습니다. 강원도의 인구 평균연령은 전국 17개 시도 중 상위 3위로 고령화·인구소멸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고령화 사회에 따른 독거노인, 노인 소외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가 되었습니다. 영화 ‘오베라는 남자’ 역시 이러한 사회적인 현상을 소재로 다루었습니다. 영화는 아내와 사별하고 직장마저 잃게 된 노년의 남성이 자살을 시도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이웃 간의 새로운 관계 형성을 통해 사회에서 소외되었던 오베의 내·외적 변화를 따라가며, 나의 이웃과 이웃 속에 나의 모습을 비추어 볼 수 있는 영화입니다.






    출처 : 네이버영화 스틸컷



    [타자화된 존재, 노인]

      영화에서는 타자화된 존재들이 등장합니다. 여기서 타자란 자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타인을 말합니다. 영화에는 노인, 이주민, 유기 동물, 동성애자, 환자들이 등장합니다. 타자화된 존재들은 사회 어느 곳에나 존재하지만, 우리 사회처럼 자신과 연관이 없다고 생각하기에 이들을 배척합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어떤 식으로든 연관이 있습니다. 누군가의 자녀이고, 직장동료이며 이웃으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누구나 노인 오베처럼 사회의 주류에서 밀려나거나, 이민자 파르바네처럼 이방인으로 살게 될 때가 올 수도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노인 오베가 소외된 위치에 있는 존재들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관객은 감동합니다. 언젠가 관객 자신도 어딘가에 편견 없이 받아들여지기를 기대하는 마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출처 : 네이버영화 스틸컷



    [오베, 죽음을 결심하다.]

      오베는 왜 죽음을 결심했을까요? 먼저 사회에서 ‘역할’을 상실한 것이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은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해내며 존재가치를 인정받기도 합니다. 자신이 쓸모 있는 존재라는 사실은 개인을 지지해주는 힘이 됩니다. 평생을 다니던 직장은 그곳에서 보낸 많은 시간만큼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그러한 직장에서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배출되었을 때, 존엄성의 훼손, 앞날에 대한 막막함, 무상함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관계’의 상실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을 여의고 힘들게 살아온 오베에게 그의 진심을 알아봐 준 여자 소냐는 그의 전부였습니다. 인간관계의 폭이 젊은 시절보다 줄어들게 된 노인에게, 평생을 함께 살아왔던 동반자의 상실은 가늠할 수 없는 절망일 것입니다.



    “노년기는 육체적 노화, 질병, 배우자 사별, 퇴직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위축 등으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자주 하게 되므로 우울증에 빠질 확률이 높다. 우울증은 노인의 신체적이고 사회적인 활동을 감소시켜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킨다. 사회적 고립은 다시 비 활동으로 이어지고, 악순환이 반복되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목적의식 상실 등을 초래한다.”

    출처 : 이문정, 「영화 <오베라는 남자>에 재현된 노년기와 타자의 수용」,『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57권 제57호(2019), pp675-699.





    출처 : 네이버영화 스틸컷



    [이 세상은 혼자서는 살 수 없어요.]

      오베의 옆집에 한 부부가 이사 오게 됩니다. 그들은 이사 온 첫날 본의 아니게 오베의 자살 시도를 막게 됩니다. 특히 임신한 이란인 부인 파르바네는 아직 모든 게 서툴러서 오베에게 계속 도움을 요청합니다. 병원을 가야 하니 아이를 봐달라거나, 운전을 가르쳐 달라고 합니다. 오베는 적극적인 의지는 아니었지만 도움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교류를 바탕으로 새로운 관계가 형성됩니다. 파르바네는 꼬장꼬장한 오베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오베, 이 세상은 혼자서는 살 수 없어요." 변하라고, 함께하자고. 오베도 그녀에게 처음으로 마음을 열고 자신의 이야기를 합니다. 이후 오베는 살아온 시간만큼 풍부한 경험과 지혜로 이민자 부부와 마을 사람들을 돕습니다. 그리고 도움을 받습니다. 젊은 부부는 한편으로는 이민자라는 약자입니다. 하지만 함께일 때 그들은 더는 약자가 아니고, 이웃공동체로써 서로에게 힘을 실어줍니다. ‘젊은 이민자 이란인 여성’, ‘노년의 스페인 독거 남성’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사람이 이웃이라는 계기로 만나고, 두 사람의 우정은 가족 단위로, 마을공동체로 범위로 확장됩니다. 이후 마을 사람들은 합심해서 치매에 걸려 요양원에 강제로 끌려갈 뻔한 주민을 구하기도 합니다.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마을공동체의 힘으로 해결해 나갑니다. 그리고 아무도 자신의 장례식에 오지 말라던 오베의 말과 달리 그의 장례식에는 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와서 그를 추모했습니다. 갈수록 심해지는 개인화 시대에 살고있지만, 공동체적인 관심은 살아갈 이유를 만들고 삶의 가치를 높여주기도 합니다. 아주 작고 사소한 관심이 누군가에게는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라도 우리 주변의 오베와 같은 사람을 찾아 나서보는 것은 어떨까요?



    “실제로 독거노인의 경우 주변 이웃들과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들을 돕는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올라간다. 이웃 주민들과 긍정적인 경험을 쌓아가고 자기 자신을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의미한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이문정, 「영화 <오베라는 남자>에 재현된 노년기와 타자의 수용」,『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57권 제57호(2019), pp675-699.